청양 서정리 구층석탑은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16-2번지에 있는 늘씬하게 잘 빠진 고려시대 석탑이다. 석탑은 공주에서 청양 방면으로, 정상면소재지 초입의 도로변에 펼쳐진 논 가운데에 위치해 있어 과속하지 않고 주행한다면 쉽게 눈에 띈다. 1963년 1월 21일, 꽤나 일찍 보물로 지정되었..
공산성 임류각은 사적 제12호인 공주 공산성 내에 지어진 연회장소로 추정되는 누각이다. 임류각은 공산성 안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고, 옆에는 세 명의 명나라 장군의 업적을 기리는 명국삼장비가 자리해 있다. 현대에 복원한 것이긴 하지만, 공산성 안에서 가장 폼나는 웅정한 건물이다...
공주 공산성은 사적 제12호이자, 금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공산성에는 영동루, 금서루, 진남루, 공북루 등 4개의 성문이 있는데, 영동루는 동쪽으로 열려 있는 동문이다. [영동루 안내판] 공산성의 4개 성문 가운데 동쪽에 설치된 문이다. 이미 무너져 없어진 것을 198..
공주 공산성은 사적 제12호이자, 금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관심이 더 커지고 있는 유적이다. 공산성에는 동문인 영동루, 서문인 금서루, 남문인 진남루, 북문인 공북루 등 4개의 성문이 있는데, 북쪽으로는 금강이 흐르고 있고, 제반 지형상의 특징과 접근의 용이성 등..
명국삼장비明國三將碑는 이름 그대로 명나라 세 장수의 비석이다. 명국삼장비는 공주 공산성 안의 동쪽에 있는 2층 누각인 임류각의 옆에 마련된 비각 안에 3기가 나란히 서 있다. 1976년 1월 8일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앞쪽이 명국삼장비가 들어서 있는 비각이고, 뒤쪽은 백제 왕의 ..
공주 공산성 연지는 말 그대로 공산성(사적 제12호) 안에 있는 연못이다. 1982년 12월 31일에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산성의 북동쪽 성벽을 끼고 금강변에 자리해 있어 성을 한 바퀴 돌다보면 반드시 지나치게 되는 구조물이다. 공산성 연지의 전경으로, 금강 건너편에서 바라 본 ..
공주 갑사 철당간은 대적전에서 아래쪽(북서쪽)으로 100m 정도 내려가면 한적한 공터에 자리해 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유일한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이다.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
공주 갑사 승탑은 대적전 앞에 위치해 있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된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갑사 뒤편 계룡산에 쓰러져 있었던 것을 1917년 대적전 앞으로 옮겨 세웠다.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모습이며, 3단의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리고 지붕돌을..
갑사 동종은 조선시대 초기 동종의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1968년 12월 19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동종은 중심사역으로 들어가는 최종 관문의 위치에 있는 강당 앞의 남쪽편에 위치해 있다. 종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1584년(선조 17)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당시의 ..
삼성각은 칠성, 산신, 독성의 삼성을 모신 곳이다. 건물 이름에 전이 아닌 각이 붙는 이유는 모두 불교 밖에서 수용한 신이기 때문이다. 갑사 삼성각은 다른 사찰과 달리 대웅전의 바로 옆에 붙어 있어 독특한 입지를 보여준다. 1984년 05월 17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갑사 강당은 해탈문과 대웅전 사이에 위치해 있어 갑사의 중심사역으로 들어가는 위치에 있는 점이 특이하다. 보수공사 때에 발견된 상량문에 따르면, 원래 정문이었던 것을 후에 강당으로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정유재란(1597년) 때 불타 없어진 것을 후에 다시 지은 ..
월리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염티소전로 55-100에 위치해 있다.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되기 이전의 주소로는 청원군 문의면 문덕리 5번지이다. 월리사는 청주에 살고 있는 나조차도 이런 절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낯선 사찰이다. 한마디로 이런 사찰이 있었는지도 몰랐었는데, 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