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청주박물관 법주사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보은문화재 야금 맞배지붕 TBLeague 팔작지붕 오층석탑 Heritage 특별전 피규어 국립익산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사리장엄 국립부여박물관 클래식카 문화재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문화유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맞배지붕(9)

  • [청주 문화재] 문의 문산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1978. 02. 22 ㅇ 소 재 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청호반로 721(문의면 문의문화재단지) ㅇ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 상세설명 : 문산관은 조선시대 문의현의 객사이다. 객사는 전패殿牌를 안치하고 초하루 보름으로 대궐을 향하여 절을 하는 의식을 거행하는 한편, 중앙에서 내려온 사신의 숙소로도 사용한 관아건축이다. 건물구조는 지붕이 좀더 높은 3칸의 정당이 중앙에 있고 그 좌측에 4칸, 우측에 3칸의 익실翼室을 두었으며, 전면에 중문․외문, 측면에 무랑 등이 부속되었고, 정당은 벽돌을 깔고 좌․우익실은 한국식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1666년(현종7년) 문의읍지에 ..

    2022.12.20
  • [안동 문화재] 봉정사 만세루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2001. 11. 01 ㅇ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ㅇ 시 대 : 조선 숙종 6년(1680년) ㅇ 상세설명 : 봉정사 대웅전 앞에 있는 2층의 누각형태를 한 누문이다. 봉정사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도력으로 만든 종이 봉황을 부석사에서 날리자 이 곳에 내려 앉아 봉정사라 불렀다고 한다. 만세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앞면에서 보면 2층이나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뒷면은 단층으로 처리하였다. 아래층 가운데 칸에 출입문을 두었으며, 위층은 네모난 우물 정井자 모양의 우물마..

    2022.05.15
  • [부여 문화재] 홍산객사

    [홍산객사 안내문] 객사는 고려시대부터 각 고을에 설치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나 사신이 머물던 관아 건물이자 숙소이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예를 올리기도 했다. 홍산객사는 조선 헌종 때인 1836년에 세워졌으며, 고종 때인 1871년에 고쳐 지은 후 1983년에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건물은 가운데에 왕의 전패를 모시는 정당이 있고, 좌우 양쪽에는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익실은 동쪽이 앞면 5칸, 옆면 2칸, 서쪽이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건물의 이름은 비홍관飛鴻館으로, 홍산지역의 주산인 비홍산에서 따온 것이다. 이 객사는 다른 곳에 비해 규모가 크고, 홍산동헌과 함께 조선 후기 홍산현의 관아건물을 대표한다. [문화..

    2021.01.10
  • [청양 문화재]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보물 제162호)

    매운 고추로 유명한 청양의 칠갑산 계곡에 자리잡은 장곡사는 대웅전이 둘이나 있는 유일무이한 구성을 보여주는 사찰이다. 위쪽 사역에는 상 대웅전이 있고, 아래쪽 사역에는 하 대웅전이 있다. 둘 모두 보물로 지정된 중요한 건축물이다. 상 대웅전은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된 고..

    2015.11.11
  • [공주 문화재] 갑사 삼성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3호)

    삼성각은 칠성, 산신, 독성의 삼성을 모신 곳이다. 건물 이름에 전이 아닌 각이 붙는 이유는 모두 불교 밖에서 수용한 신이기 때문이다. 갑사 삼성각은 다른 사찰과 달리 대웅전의 바로 옆에 붙어 있어 독특한 입지를 보여준다. 1984년 05월 17일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다...

    2015.10.18
  • [안동 문화재] 봉정사 만세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5호)

    봉정사 만세루는 중심 사역인 대웅전 영역의 전면에 자리해 있어, 중심사역으로 들어가는 최종 출입구 역할을 한다. 원래 이름은 '덕휘루'였다고 한다. 2001년 11월 1일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2층의 누각형태의 누문이다. 조선 숙종 6년(1680)에 건립된 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꽤 긴 돌계..

    2015.09.06
  • [안동 문화재] 봉정사 고금당(보물 제449호)

    봉정사 고금당은 극락전 영역의 서쪽편에 자리해 있으며, 1967년 6월 23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고금당은 이름 그대로 '옛 금당'이란 뜻으로, 대웅전이나 극락전이 들어서기 전에 절의 중심 건물로서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스님들의 요사채로 사용되고 있으며, 1969년 해..

    2015.09.06
  • [안동 문화재]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사찰들과는 다르게 대웅전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독특한 배치를 갖고 있으며, 1962년 12월 2일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대웅전 영역의 서쪽편, 극락전 영역의 높은 뒤쪽 중심에서 이 영역을 아우르..

    2015.08.30
  • [영주 문화재] 부석사 조사당(국보 제19호)

    조사당은 부석사 메인 사역 뒤쪽으로 가장 산 위쪽에 위치해 있다. 그렇다고 무지하게 멀리 있는 건 아니다. 조사당은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이름 그대로 이 절의 조사, 즉 창건 스님인 의상을 모신 전각이다. 1916년 수리 중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시대인 1377년(우..

    2015.02.20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