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피규어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오층석탑 법주사 사리장엄 문화재 야금 맞배지붕 청주박물관 팔작지붕 문화유산 국립청주박물관 TBLeague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클래식카 보은문화재 Heritage 특별전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문화유산(17)

  • [공주 문화재] 공주 마곡사의 과거와 현재

    2023.01.23
  • [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세존사리탑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1976. 12. 21 ㅇ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ㅇ 시 대 : 고려(1362년) ㅇ 상세설명 : 고려 공민왕이 법주사에 행차했을 때, 통도사에 있는 석가모니의 사리 가운데 일부를 이 곳에 옮겨오도록 하여 세워놓은 사리탑이다. 8각을 기본형태로 하여, 상 ·중 ·하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리고,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기단에서 아래받침돌은 윗면에 비스듬히 경사를 주었고, 가운데받침돌은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으며, 윗받침돌은 솟은 연꽃무늬로 장식하였다. 둥근 탑신의 몸돌은 아무런 장식이 없고, 지붕돌은 윗면에 흐르던 급한 경사가 끝부분에 이르러 완만해 졌다. 머..

    2022.12.25
  • [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보물 ㅇ 지 정 일 : 1963. 01. 21 ㅇ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ㅇ 시 대 : 통일신라(8세기 후반) ㅇ 상세설명 : 법주사 팔상전의 서쪽에 자리잡고 있는 석등이다.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에는 지붕돌을 올리고 있다. 네모난 받침돌 위에 아래받침돌은 면마다 안상을 새기고, 그 윗면은 가운데받침돌을 사이에 두고 윗받침돌과 대칭되게 연꽃을 조각하였다. 화사석은 4면에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신으로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가 살짝 치켜올라가 경쾌한 느낌을 준다. 대체로 각 ..

    2022.12.25
  • [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보물 ㅇ 지 정 일 : 1987. 03. 09 ㅇ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ㅇ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 상세설명 : 속리산 기슭에 있는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처음 지었고, 혜공왕 12년(776)에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탄 것을 인조 2년(1624)에 벽암이 다시 지었으며 그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내부에 모신 삼존불은 벽암이 다시 지을 때 조성한 것으로 가운데에 법신..

    2022.12.24
  •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이집트-] 오시리스

    [전시 안내문] 오시리스 Osiris 아비도스 후기왕조 시대, 제26왕조 기원전 약 664~525년 혹은 그 이후 청동, 금박 이 조각상은 죽은 자들의 땅을 다스리는 오시리스이다. 오시리스는 왕의 표식인 굽은 지팡이와 도리깨를 쥐고 있는 미라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 상은 신에게 복을 기원하는 사람들이 바친 것이다.

    2022.12.15
  • [부여 가볼 만한 곳] 백제문화단지

    2022.12.11
  • [청주 가볼 만한 곳] 청주 정북동토성

    2020년 10월...

    2022.12.04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 기술, 흙에 담다

    2022.12.04
  • [공주 문화재]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보물 ㅇ 지정일 : 1984. 11. 30 ㅇ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 해탈문·천왕문과 일직선으로 놓여 있다.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을 모신 건물로 처음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불에 타버렸던 것을 조선 ..

    2022.12.04
  • [공주 문화재]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보물 ㅇ 지정일 : 1984. 11. 30 ㅇ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ㅇ 시 대 : 고려 ㅇ 상세설명 : 마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구한말에는 독립운동가 김구와도 인연이 깊었던 사찰이다. 김구는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던 일본인 장교를 죽인 후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로 지냈는데, 지금도 대광보전 앞쪽에는 김구가 심었다는 향나무가 자라고 있다. 절마당에 우뚝 서 있는 이 탑은 탑 전체의 무게를 받쳐주는 기단基壇을 2단으로 쌓고, 그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에는 부처, 보살 등을 조각해 놓았고, 지붕돌은 네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았던 흔적이 보이는데, ..

    2022.12.04
  • [국립청주박물관 - 오송 다뉴세문경 재현실험 일반공개] 극한으로 새긴 선, 첨단으로 다시 잇다

    2022.12.04
  • [예산 문화재] 예산 일산이수정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ㅇ지정일 : 2002. 08. 10 ㅇ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양면 서계양리 106번지 ㅇ상세설명 : 예산 대술에서 흘러오는 달천과 청양에서 흘러오는 죽천천이 만나 예당저수지로 흘러들어가는 지점에 작은 동산이 있는데, 이 동산 위에 정자가 동남향하여 서 있다. 이 정자는 정면 3칸·측면 2칸의 비교적 규모가 큰 ‘一’자형 정자건물이다. 추사 김정희(1786∼1856) 선생이 지형지세를 따라 ‘일산이수정’이라는 정자 이름을 지어 편액하였다. 이 건물은 조선 헌종 15년(1849)에 신양의 명사였던 이철수李喆洙(1824∼1896) 옹에 의해 건립된 예산지역을 대표하는 정자 건물로 전한다. 강학講學을 위해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1920년 ..

    2022.12.04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