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익산박물관(10)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불심 깃든 쇳물, 강원과 전북의 철불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소개의 글] 기간 : 2021. 05. 25 ~ 2021. 08. 29 장소 : 국립익산박물관 기획전시실 내용 : 국립익산박물관은 2021년 특별전 을 개최합니다. 쇠를 녹여 만든 불상인 철불鐵佛은 9세기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에 이르는 짧은 기간 동안, 당시 수도였던 경주나 개성이 아닌 지방에서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많은 예가 남아있는 곳이 바로 강원도와 전라북도입니다. 이번 전시는 앞서 강원도 원주 철불에 대한 보존과학적 연구성과를 공개한 국립춘천박물관 특별전 에, 전북 남원과 임실에 전하는 철불을 더하여 꾸며 보았습니다. 단단한 쇠도 단번에 녹여버릴 뜨거운 불심佛心으로 만든 강원과 전북의 철불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2021.07.31 -
[익산 문화재]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국보 제123호 ㅇ 지 정 일 : 1966. 07. 26 ㅇ 소 재 지 : 국립익산박물관 ㅇ 상세설명 : 마한의 왕궁이 있던 자리로 알려진 터에 있는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제289호)을 보수하기 위해, 1965년 해체하면서 탑을 받치고 있던 기단부와 1층 지붕돌 윗면에서 발견된 유물들이다. 발견된 유물들은 백제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시기의 것들로 판단된다. 기단부 윗면에 품品자형으로 뚫린 3개의 구멍 중 동쪽에서는 광배와 대좌를 갖추고 있는 금동여래입상 1구와 불교 의식 때 흔들어 소리를 내던 청동요령 1개가 나왔고, 북쪽구멍에서는 향류香類가, 또 다른 구멍은 이미 도굴된 상태였다. 1층 지붕돌 윗면 중앙에 뚫려있는 2개의 구멍에서는 각각 연꽃 봉오리모양..
2020.12.10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녹색 유약, 녹유綠釉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녹색 유약, 녹유 ㅇ전시기간 : 2020. 08. 04 ~ 2020. 11. 22 ㅇ전시장소 : 국립익산박물관 기획전시실 ㅇ전시소개글(국립익산박물관 홈페이지) : 국립익산박물관은 를 8월 4일(화)부터 11월 22일(일)까지 개최합니다. 백제 무왕 대(재위 600-641)에 창건된 미륵사에서는 백제 왕궁에서도 사용되지 않았던 녹유綠釉를 입힌 기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녹유는 중국 한나라 때 처음으로 만들어진 유약으로, 반짝반짝 빛난다고 해서 ‘유리琉璃’라고도 불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녹유를 시유한 그릇을 제작하였습니다. 삼국시대 녹유가 갖는 의미는 국내에서 제작된 첫 번재 유약이라는 점입니다. 전시는 네가지 주제로 구성하였습니다. 1부 ‘녹유, 미륵사를 물들이..
2020.11.15 -
[부여 문화재]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장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백제 577년 ㅣ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 ㅣ 국보 제327호 2007년 부여 왕흥사지에서 발견된 청동, 은, 금의 삼중 사리장엄입니다. 가장 바깥쪽 청동 사리함에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577년 백제의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공양한 사리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왕이 사리를 공양하려 하였을 때, 놀랍게도 사리는 기적을 일으켜 2과였던 것이 3과가 되었다고 합니다. 기적을 보인 사리는 순도 99%가 넘는 은제 사리병과 금제 사리호 안에 귀하에 안치되었지만, 발견 당시에는 사리는 사라지고 맑은 물만 남아있었습니다. 정유년(577) 2월 15일 백제 창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사찰을 세웠다. 본래 사리가 2매..
2020.04.19 -
[개성 문화재]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출토 묘법연화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고려 1283년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15년 개성의 남계원 터에 있던 칠층석탑을 경복궁으로 옮겨 왔을 때, 탑 안에서 두루마리 7권의 묘법연화경이 발견되었습니다. 감색 종이 위에 금으로 그림을 그리고, 은으로 경전의 내용을 적은 것인데, 훼손이 심하여 펼칠 수도 없는 상태였던 것을 2권만 수리하여 현재의 상태가 되었습니다. 탑 속에 부처님의 말씀을 형상화한 소탑이 아니라, 부처님의 말씀 그 자체인 경전을 봉안한 경우도 많았지만, 재질 상의 이유로 지금까지 남아있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게다가 발원자 염승익廉承益의 이름이 남아있어 제작 시기와 연원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긴 금강저를 휘두르며..
2020.04.19 -
[봉화 문화재]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 출토 소탑과 사리장엄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9세기 중엽 ㅣ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1962년 경상북도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의 해체 수리 때 1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네모난 사리 구멍 안에는 99기의 소탑이 가득 들어있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행한 법사리 안치 방식입니다. 8세기 초에 전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99개'의 다라니를 '99기'의 소탑 안에 넣은 '법사리'를 탑 안에 봉안하면, 그동안 지은 죄를 씻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경전의 말씀대로 99기의 소탑을 안치한 것이 그대로 남아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돌로 만든 사리호 안에 3과의 사리를 안치한 유리병도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2020.04.19 -
[영암 문화재]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광주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1996년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용암사 터에 남아 있던 삼층석탑의 기단부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사리장엄은 금과 은, 유리 등의 귀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고려시대에 이르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도자기 등을 재활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청자 항아리 안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32과顆의 사리를 모신 사리호가 함께 들어있었습니다. 사리장엄의 재질이나 함께 모신 보살상 등을 보면 사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면 탑 안에 사리 없이 불상만 안치하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지장보살이 두건을 쓰고 있는 사실은 눈..
2020.04.13 -
[광주 문화재]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볼 수 있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61년 광주光州 시내에 위치한 고려 전기의 오층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 중에, 2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금빛 탑 모양의 사리장엄입니다. 보살이 장식된 탑신을 들어올리면, 활짝 핀 연꽃받침 위에 은으로 만든 작은 호가 놓여져 있고, 그 안에 모두 56과 顆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었습니다. 사리호에 사리를 넣어 탑 모양의 사리장엄 안에 안치하고, 그 탑 모양의 사리장엄을 다시 탑 안에 안치하는 방식이 독특합니다. '사리'를 '탑 안'에 모셔 예배하는 인식이 뿌리 깊이 정착되어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사리를 지키고 있는 대좌 위의 사천왕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2020.04.13 -
[칠곡 문화재]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일괄 유물 가운데 사리장엄구만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25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상세설명 :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이 있다. 1959년 이 탑을 수리하기 위해 해체하면서 탑 안에 있던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는 2층 탑신塔身 구형龜形 석함石函(현재 송림사에 보관) 속에서 발견되었다. ㅇ 1층 탑신에서는 나무와 돌 그리고 동으로 만든 불상이 각각 2구씩..
2020.04.12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국립익산박물관 개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2020. 01. 10 ~ 2020. 04. 26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하고, 특별전까지 열었으나... 2020년 4월 현재, 그 넘의 코로나 때문에 개점휴업상태라니... 국립익산박물관은 기존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승격되면서 2020년 01월 10일에 재개관 하였다. 각 유물별로는 따로 업로드합니다~
20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