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장엄(8)
-
[금강산 문화재]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전시 안내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 고려 1390~1391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1925호 1932년 금강산 월출봉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두 종류의 탑 모양 사리함과 함께 발견된 백자 사발에 발원문이 적혀 있어, 1390~1391년에 걸쳐 조선의 건국을 꿈꾸던 이성계와 그의 부인 강씨 등이 함께 공양한 사리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발원문에는 미륵이 하생하였을 때의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을 공공연히 피력하고 있습니다. 고려 왕실 입장에서 보면 엄연한 역모의 사리인데, 사리를 공양한 이듬해에 이성계는 역성혁명을 이루었으니 정말 영험한 사리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대흥 홍무 연간(1368~1398)에 은월암 송헌시중 만여 명과 더불어 함께 ..
2020.05.04 -
[경주 문화재] 경주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전시 안내문]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통일신라 682년경, 보물 제366호 경주 감은사지 서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과 같은 구성이지만 안타깝게도 내함의 지붕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또한 표면의 금빛도 많이 사라졌지만, 지극한 정성으로 장식한 아름다움은 여전합니다. 대좌의 각 면에는 신장 1구와 무릎 꿇은 보살 1구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내함 한가운데 안치한 보주형 사리기를 둘러싼 악사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천상의 음악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외함의 4면에 사천왕을 1구씩 배치하였는데, 각 사천왕이 밟고 서 있는 것이 악귀와 뿔 달린 짐승 등 서로 다양합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66호 ㅇ 지 정..
2020.05.03 -
[봉화 문화재]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 출토 소탑과 사리장엄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9세기 중엽 ㅣ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1962년 경상북도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의 해체 수리 때 1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네모난 사리 구멍 안에는 99기의 소탑이 가득 들어있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행한 법사리 안치 방식입니다. 8세기 초에 전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99개'의 다라니를 '99기'의 소탑 안에 넣은 '법사리'를 탑 안에 봉안하면, 그동안 지은 죄를 씻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경전의 말씀대로 99기의 소탑을 안치한 것이 그대로 남아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돌로 만든 사리호 안에 3과의 사리를 안치한 유리병도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2020.04.19 -
[남양주 문화재]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 부처와 보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조선 1628년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경기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의 2층과 3층 옥개석에서 발견된 불상 1구와 보살상 2구입니다. 이 탑 안에서는 1493년 태종의 후궁 명빈 김씨가 시주한 불상 6구와 불감 1기, 그리고 1628년 선조의 비 인목왕후 김씨가 발원한 불상 20구가 모셔져 있었는데, 여기에 전시된 것은 인목왕후 김씨가 발원한 약사여래와 일광보살, 월광보살입니다.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은 유교를 숭상한 조선 왕실의 여인들이 불교를 후원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왔지만, 탑 안에 사리 대신 불상만을 안치하는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주목할 만합니다. 보살의 보관 장식에서 떡방아를..
2020.04.15 -
[영암 문화재]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광주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1996년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용암사 터에 남아 있던 삼층석탑의 기단부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사리장엄은 금과 은, 유리 등의 귀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고려시대에 이르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도자기 등을 재활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청자 항아리 안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32과顆의 사리를 모신 사리호가 함께 들어있었습니다. 사리장엄의 재질이나 함께 모신 보살상 등을 보면 사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면 탑 안에 사리 없이 불상만 안치하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지장보살이 두건을 쓰고 있는 사실은 눈..
2020.04.13 -
[광주 문화재]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볼 수 있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61년 광주光州 시내에 위치한 고려 전기의 오층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 중에, 2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금빛 탑 모양의 사리장엄입니다. 보살이 장식된 탑신을 들어올리면, 활짝 핀 연꽃받침 위에 은으로 만든 작은 호가 놓여져 있고, 그 안에 모두 56과 顆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었습니다. 사리호에 사리를 넣어 탑 모양의 사리장엄 안에 안치하고, 그 탑 모양의 사리장엄을 다시 탑 안에 안치하는 방식이 독특합니다. '사리'를 '탑 안'에 모셔 예배하는 인식이 뿌리 깊이 정착되어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사리를 지키고 있는 대좌 위의 사천왕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2020.04.13 -
[칠곡 문화재]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일괄 유물 가운데 사리장엄구만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25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상세설명 :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이 있다. 1959년 이 탑을 수리하기 위해 해체하면서 탑 안에 있던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는 2층 탑신塔身 구형龜形 석함石函(현재 송림사에 보관) 속에서 발견되었다. ㅇ 1층 탑신에서는 나무와 돌 그리고 동으로 만든 불상이 각각 2구씩..
2020.04.12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국립익산박물관 개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2020. 01. 10 ~ 2020. 04. 26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하고, 특별전까지 열었으나... 2020년 4월 현재, 그 넘의 코로나 때문에 개점휴업상태라니... 국립익산박물관은 기존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승격되면서 2020년 01월 10일에 재개관 하였다. 각 유물별로는 따로 업로드합니다~
2020.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