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작지붕(17)
-
[서울 문화재] 경복궁 근정전
2015년 7월 풍경...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국보 ㅇ지정일 : 1985. 01. 08 ㅇ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ㅇ시 대 : 조선 고종 4년(1867년) ㅇ상세설명 : 경복궁 근정전은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태조 4년(1395)에 지었으며, 정종과 세종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여러 왕들이 이곳에서 즉위식을 하기도 하였다. ‘근정’이란 이름은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도전이 지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5칸·옆면 5칸 크기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
2023.04.25 -
[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보물 ㅇ 지 정 일 : 1987. 03. 09 ㅇ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ㅇ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 상세설명 : 속리산 기슭에 있는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처음 지었고, 혜공왕 12년(776)에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탄 것을 인조 2년(1624)에 벽암이 다시 지었으며 그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내부에 모신 삼존불은 벽암이 다시 지을 때 조성한 것으로 가운데에 법신..
2022.12.24 -
[청주 문화재] 문의 문산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1978. 02. 22 ㅇ 소 재 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청호반로 721(문의면 문의문화재단지) ㅇ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 상세설명 : 문산관은 조선시대 문의현의 객사이다. 객사는 전패殿牌를 안치하고 초하루 보름으로 대궐을 향하여 절을 하는 의식을 거행하는 한편, 중앙에서 내려온 사신의 숙소로도 사용한 관아건축이다. 건물구조는 지붕이 좀더 높은 3칸의 정당이 중앙에 있고 그 좌측에 4칸, 우측에 3칸의 익실翼室을 두었으며, 전면에 중문․외문, 측면에 무랑 등이 부속되었고, 정당은 벽돌을 깔고 좌․우익실은 한국식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1666년(현종7년) 문의읍지에 ..
2022.12.20 -
[공주 문화재]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보물 ㅇ 지정일 : 1984. 11. 30 ㅇ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9년(640) 자장율사가 세웠다는 설과 신라의 승려 무선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한다.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던 절로 고려 명종 2년(1172) 보조국사가 절을 다시 세웠으나 임진왜란 뒤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다. 훗날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대웅전·영산전·대적광전 등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 해탈문·천왕문과 일직선으로 놓여 있다.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을 모신 건물로 처음 지은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불에 타버렸던 것을 조선 ..
2022.12.04 -
[예산 문화재] 예산 일산이수정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ㅇ지정일 : 2002. 08. 10 ㅇ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양면 서계양리 106번지 ㅇ상세설명 : 예산 대술에서 흘러오는 달천과 청양에서 흘러오는 죽천천이 만나 예당저수지로 흘러들어가는 지점에 작은 동산이 있는데, 이 동산 위에 정자가 동남향하여 서 있다. 이 정자는 정면 3칸·측면 2칸의 비교적 규모가 큰 ‘一’자형 정자건물이다. 추사 김정희(1786∼1856) 선생이 지형지세를 따라 ‘일산이수정’이라는 정자 이름을 지어 편액하였다. 이 건물은 조선 헌종 15년(1849)에 신양의 명사였던 이철수李喆洙(1824∼1896) 옹에 의해 건립된 예산지역을 대표하는 정자 건물로 전한다. 강학講學을 위해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1920년 ..
2022.12.04 -
[보은 문화재] 보은 회인 인산객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지 정 일 : 1982. 12. 17 ㅇ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 15번지 ㅇ상세설명 : 조선시대에 중앙의 관리가 파견되거나 외국에서 사신이 올 때 잠시 머물 수 있도록 시설해 놓은 곳이다. 정당은 1983년에 수리하였는데 이때 발견된 문서에 의하면 효종 6년(1655)에 새로 지어지고, 순조 3년(1803)에 고쳤으며 인산객사로 기록되어 있어 종래의 회인객사 동헌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배치형식은 정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이 있으며, 앞쪽에는 중문과 외문 그리고 행랑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곳에는 정당과 외문만이 남아있다. 앞면 8칸·옆면 2칸으로 가운데 3칸의 정당은 모두 우물마루로 되어있으며, 그 옆으로 2칸의 방을 놓..
2022.12.04 -
[부여 문화재] 홍산객사
[홍산객사 안내문] 객사는 고려시대부터 각 고을에 설치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나 사신이 머물던 관아 건물이자 숙소이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예를 올리기도 했다. 홍산객사는 조선 헌종 때인 1836년에 세워졌으며, 고종 때인 1871년에 고쳐 지은 후 1983년에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건물은 가운데에 왕의 전패를 모시는 정당이 있고, 좌우 양쪽에는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익실은 동쪽이 앞면 5칸, 옆면 2칸, 서쪽이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건물의 이름은 비홍관飛鴻館으로, 홍산지역의 주산인 비홍산에서 따온 것이다. 이 객사는 다른 곳에 비해 규모가 크고, 홍산동헌과 함께 조선 후기 홍산현의 관아건물을 대표한다. [문화..
2021.01.10 -
[구례 문화재] 구례 화엄사 대웅전
명색이 사찰의 중심건물인 대웅전이지만, 더 웅장한 각황전 때문에 살짝 그늘에 가려진 느낌이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299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으로 큰 절이었고,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탄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중 절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화엄사의 건물 중 각황전(국보 제67호) 다음으로 큰 건물이다. 지금 있는 건물은 조선 인조 8년(1630)에 벽암대사가 다시 세운 것이라고 한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고, 지붕은..
2020.06.22 -
[구례 화엄사] 구례 화엄사 각황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국보 제67호 ㅇ 지 정 일 : 1962년 12월 20일 ㅇ 소 재 지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 큰절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래 각황전터에는 3층의 장육전이 있었고 사방의 벽에 화엄경이 새겨져 있었다고 하나, 임진왜란 때 파괴되어 만여점이 넘는 조각들만 절에서 보관하고 있다. 조선 숙종 28년(1702)에 장륙전 건물을 다시 지었으며, ‘각황전’이란 이름은 임금(숙종)이 지어 현판을 내린 것이라고 한다. 이 건물은 신라시대에 쌓은 것으로 ..
2020.06.14 -
[순천 문화재] 순천 송광사 영산전
송광사 경내의 약사전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작고 예쁜 건물은 분명하지만, 바로 앞에 담장이 있어 화각이 나오지 않는...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03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절의 기록에 이 건물은 조선 인조 17년(1639)에 세웠고 영조 12년(1736)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73년에 보수한 것이다. 영산전에는 석가모니불상을 모시고 ..
2020.05.24 -
[순천 문화재] 순천 송광사 약사전
정작 중요한 건물들은 볼 수 없는 곳이었지만, 배롱꽃이 건물들의 운치를 더해 줬던 송광사. 가장 작지만 매력도 넘쳤던 약사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02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약사전은 모든 질병을 고쳐 주는 부처인 약사여래를 모신 불전으로서, 규모가 송광사에서 가장 작은 법당이다. 앞면·옆면이 모두 1칸으로 간결하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
2020.05.24 -
[보령 문화재] 충청수영 진휼청(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12호)
충청수영 진휼청은 보령시 오천면 오천항 일대에 축성된 보령 충청수영성(사적 제501호) 안의 북쪽편에, 오천항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자리해 있다. 2010년 12월 30일에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충청수영 진휼청 안내판] 조선시대 충청수영성 안..
201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