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문화재]/발굴유적(8)
-
[공주의 유적] 공주 공산성의 백제 왕궁 관련시설과 백제의 사다리
공주 공산성은 세계유산답게 발굴조사 때마다 주목할만한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지난 2011년 발굴조사에서는 칠갑옷이 출토되어 떠들썩했는데, 이번 공산성 성안마을 8차 발굴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온전한 형태의 백제시대 사다리가 출토되어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백제시대 건물지, 연(연못)지, 추정공방지, 도로, 축대, 배수로, 마당지 등 왕궁 관련시설이 중점적으로 조사되었으며, 기타 통일신라시대와 조선시대의 건물지 등도 함께 확인되었다. 지난 금요일(12월 11일)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하는 현장 공개 설명회가 있었다. 백제시대 사다리가 출토된 연지. 연지는 사각형 형태에 너비 10m, 바닥너비 6m, 깊이 2.6m이다. 남동쪽에서 내려다 본 조사지역 전경이다. 남쪽 조사지역 근경. 흰..
2015.12.13 -
[홍성의 유적] 국내 최대 규모의 원삼국시대 환호취락, 홍성 석택리유적
홍성 석택리유적은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인 내포시와 예산수덕사I.C를 잇는 진입도로 건설공사와 관련해 실시한 문화재조사를 통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건설공사 시행에 앞서 문화재의 유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첫 단계인 지표조사에서 유적의 유존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발굴조사까지 진행되면서 유적의 전모가 드러났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원삼국시대 유적 가운데 환호취락으로서 가장 규모가 크고 완벽한 모습을 갖추고 있어 그 중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국내 최초로 발굴조사 진행 중에 그대로 보존조치가 내려지기도 했던 유적이다. 현재는 일부만 발굴조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복토하고, 언제가 될지 모를 훗날 발굴조사가 재개되기를 기다리며 잠자고 있다. 항공촬영한 석택리유적의 전경이다. 유적은 나지막한 구릉지 정상..
2015.09.25 -
춘천 중도 레고랜드부지 선사유적
우리 문화재와 유적의 발굴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어제 오늘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춘천 중도 레고랜드부지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 유적에 다녀왔습니다. 어제 7월 29일, 문화재청의 유적 심의를 위한 검토회의와 현장 공개가 있었습니다. 발굴조사 부지가 광대한 관계로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한백문화재연구원, 한강문화재연구원, 고려문화재연구원, 예맥문화재연구원 등 5개 문화재조사기관이 참여해서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 사진은 스크롤이 좀 깁니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본 유적 전경입니다. 중간쯤에서 북쪽으로 본 유적 전경입니다. 중간쯤에서 남쪽으로 본 전경입니다. 가장 남쪽으로 고인돌들이 몰려 있습니다. 북쪽에는 생활공간이, 남쪽에는 매장공간을, 공간의 구분이 엄격했던 듯... 또 사진 앞쪽에는 어린이묘처럼 작은 고..
2014.07.31 -
고구려로의 타임여행, 부강터널 위 남성골 유적[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9호]
오늘도 고구려유적 한 곳 올려봅니다. 청원I.C에서 세종특별자치시로 연결되는 96번 도로를 따라 조금 가다 보면 부강면소재지 옆의 을 지나게 됩니다. 바로 아래 사진의 장소지요. 여길 지나는 동안은 고구려 영토를 지나는 겁니다^^. 이쪽은 세종시에서 청원I.C 방향으로 진입하는 입구인데, 대부분 그냥 지나치게 됩니다. 운전할 때는 전방을 반드시 주시해야 안전하니까요^^. 그런데 위에 보시면 뭔가 있습니다. 산책로 같은 것인데, 바로 저 터널 위가 5세기 때 고구려가 한창 남하했을 때 여기까지 왔었던 흔적이 발견된 '남성골산성'입니다. 예전에는 '청원 남성골산성'이라고 했었는데, 지금은 부강면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행정구역이 편입되었기 때문에 '세종 남성골산성'... 이라고 해야할지... 어쨌건 저 유적은 2..
2014.04.15 -
고려~조선시대의 일반적 분묘유적, 화성 와우리유적
화성 와우리유적은 '서수원-오산-평택간 고속도로 건설사업(지금의 '봉담-동탄 고속도로')'과 관련해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서 발견된 유적입니다. 발굴조사는 2007년도에 문화재 조사기관인 기호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하였습니다. 먼저 설명에 필요한 몇가지 용어를 정의하고 들어가겠습니다. *유구 : 옛적 구조물의 구조와 양식 등을 알 수 있는 흔적들로서, 무덤이나 집자리와 같은 것들의 하나 하나를 말합니다. *석곽묘 : 돗덧널무덤이라고도 하는데, 땅을 파고 돌을 쌓아 곽을 만든 무덤. *회곽묘 : 회를 개어 콘크리트 박스처럼 견고하게 곽을 만들고 그 안에 관을 안치한 무덤. *토광묘 : 다들 아시는 바와 같이, 그냥 땅을 파서 관을 묻거나 시신을 그대로 묻어 만든 무덤. *부장품 : 무덤 안에 시신과 함께 매장..
2014.02.02 -
충북에서도 청자를 생산하다. 진천 죽현리 청자가마터
흔히 청자하면 떠오르는 건 전라남도 강진 등지에서 생산된, 박물관에 진열된 운학문이 멋드러지게 그려진 소위 비색의 상감청자나, 간혹 뉴스를 통해 접하는 바다에서 건져 올려진 청자운반선에서 발견된 다량의 청자들 정도가 생각나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그런 권세가나 가질 수 있었던 고급청자나 수출용 청자 외에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던 청자도 어딘가에서는 분명히 생산을 되었을 것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곳은 그처럼 일반인들이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주 아름답게 보이지만은 않는 청자를 만들었던 가마터 중 한 곳입니다. 바로 진천 죽현리에서 발견된 청자가마터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마의 대부분이 오랜 시간에 걸친 지형변화 때문에 남아 있는 부분은 썩 훌륭하지가 않습니다. 지금까지 충청북도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확..
2014.01.26 -
운동중학교 밑에는 조선시대 건물터가 잠자고 있다. 청주 운동동유적<B,C구역>
먼저 청주 운동동유적의 A구역을 소개했었는데, 스크롤이 너무 길어져서 B구역과 C구역은 여기서 따로 소개합니다. 이전 게시물에서도 소개했지만, 운동동유적은 아래 사진처럼 3개 지점으로 나뉘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B구역은 중간 부분에 있고, 원래 있던 운동초등학교 운동장 일부까지 유적이 퍼져 있었습니다. 여기서는 조선시대 전기의 건물터 2동, 집자리 4기, 기타 정체가 불분명한 흔적들 80기 정도가 발견되었습니다. 아래쪽이 B구역이고, 뒤쪽 언덕 위가 A구역입니다. 원래의 운동초등학교는 철거작업이 한창이네요. 조금 더 내려가서 보면... 오른쪽 아래 부분에 바닥판처럼 돌무더기를 선으로 이어 놓은 부분이 건물터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위쪽으로는 좀 큼직한 것은 조선시대 집자리이고, 뭔가 불을 땠던 흔적..
2014.01.18 -
운동초등학교는 공동묘지 위에 지어졌다?! 청주 운동동 유적<A구역>
지금도 초등학교에 그런 소문들이 돌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옛날 국민학교시절에는 학교마다 그런 소문이 있었습니다. '학교가 공동묘지 위에 지어져서 밤마다 귀신이 나온다는...^^' 직업으로 문화재조사를 하면서 느낀 건, 그 말이 맞는 말이기도 하겠구나~ 입니다. 물론 귀신을 본 적은 없지만요. 청주 운동동에 있는 운동초등학교의 경우도 그 말에 해당이 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합니다. 이건 무슨 말이냐면, 아래 사진처럼 운동초등학교 자리가 원래 구릉지였는데 학교를 짓기 전에 발굴조사를 해 본 결과 100기 이상의 무덤이 발견되었었지요. 하지만 학교를 짓기 위해 그 구릉을 싹 밀어버리고 평지로 만들어 무덤은 모두 사라진 후에 학교를 지었으니 맞기도 하고 안맞기도 한 상황인거죠^^. 이 사진은 지금의 운동초등학교..
201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