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국문학자인 가람 이병기선생의 이름 석자를 모르는 분들이 있을까. 솔직히 이름 말고는 나조차도... 40여년을 국어를 쓰고 살면서 이제서야 여길 가보다니... 이병기선생 생가는 전북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8(원수리), 한적한 시골마을에 위치해 있다. 1973년 6월 23일에 기념물..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은 전북 익산시 삼기면 진북로 273, 석불초등학교 옆에 최근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작은 사찰인 석불사의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초등학교 이름에도 묻어 있듯이 아주 오래 전부터 석불에 대한 믿음이 깊이 자리한 동네가 아닌가 싶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
정림사지는 부여읍내에 있는 대표적인 백제시대의 사찰로서, 북쪽으로 1km 정도 거리에는 부소산성과 관북리유적과 낙화암 등이, 남쪽으로 1km 정도 거리에는 별궁인 궁남지가 있고, 바로 근처에는 국립부여박물관이 자리해 있다. 그만큼 부여읍내를 중심으로 일대에는 구경할만한 문화..
익산 미륵사지는 너무나도 잘 알려졌다시피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한 백제 최대의 사찰이다. 미륵사지는 미륵산 남쪽 아래 평탄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1966년 6월 2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미륵사지에 대한 포스팅은 이미 몇 꼭지를 올렸으나, 이번에는 총정리(?)하는 셈 치..
미륵사지 석등하대석은, 미륵사지 내 동쪽 석탑과 금당지 사이와 중앙 목탑지와 금당지 사이 등 2기가 남아 있다. 1999년 4월 23일에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백제시대의 작품이다. 중앙 목탑지와 금당지 사이에 남아 있는 석등하대석이다. [석등하대석 안내문]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당연한 얘기지만,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의 미륵사지 내에 있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미륵사지 당간지주는 절의 위용에 말해주듯이, 동-서방향 90m 정도 거리를 두고 2기나 남아 있다(적색 원).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고도리 석조여래입상은 전북 익산시 금마면에 약 200미터 거리를 두고 마주보고 있는 2구의 석불이다. 두 석불 사이에는 익산천이 흐르고 있는데, 이 하천을 경계로 행정구역이 동고도리와 서고도리로 나뉘어진다. 고도리 하면 고스톱이 먼저 떠오르겠지만, 옛 고古, 도읍 도都. 백제의 큰..
왕궁리유적전시관은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사적 제408호인 왕궁리유적 내에 위치해 있다. 이 전시관은 이름 그대로, 지금까지도 계속 진행 중인 왕궁리유적의 발굴조사에 확인되는 내용과 유물을 전시 소개하여 문화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늘에서 본 왕궁리유적전시관 전경(..
익산 왕궁리 유적을 하늘에서 휘~ 둘러보다. 익산 왕궁리 유적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지상에서의 포스팅은, 요기요(http://blog.daum.net/dojasa/16794853 )~~~. 촬영은 드론 팬텀3...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번지, 당연하게도 미륵사지 내에 위치해 있다.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석탑은 현재 해체되어 보수정비가 진행 중이며, 조만간에 새롭게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생각된다. 미륵사지유물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는 해체 이전..
미륵사지유물전시관은,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사적 제150호인 익산 미륵사지 내에 만들어져 미륵사지와 관련된 각종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미륵사는 백제의 사찰로 너무 유명해져 있어서 혹시 백제 때의 사찰로만 알고 계신 분들이 있으실지 몰라서... 미륵사는 통일신라 때에도..
백제의 대표적인 절터인 미륵사지는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해 있으며, 1966년 6월 2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드론 팬텀3 어드밴스로 촬영, 역시 절터는 내려다봐야 눈에 딱 들어온다.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익산 기양리에 있는 백제 때의 절터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