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팔작지붕 문화재 보은문화재 법주사 청주박물관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Heritage 특별전 국립부여박물관 TBLeague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문화유산 국립익산박물관 피규어 오층석탑 사리장엄 국립청주박물관 클래식카 맞배지붕 야금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523)

  • [경주 문화재]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지 출토 사리장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관람... [전시 안내문]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지 출토 사리장엄 7세기 전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1,2) 통일신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3,4) 통일신라 872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1870호(5) 640년 당에서 귀국한 자장이 선덕여왕에게 건의하여 지은 황룡사의 구층목탑 안에 안치되어 있었던 사리장엄입니다. 황룡사의 구층목탑은 당시 신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높은 건물이었습니다. 게다가 불에 타서 심초석이 드러난 채 방치된 적도 많아서 항상 도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실제로 여기 모인 사리장엄 중에도 도굴되었다가 회수된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사리 구멍 안쪽에 남아있던 금동판(사리내합)에 명문(찰주본기)이 새겨져 있어서 6..

    2020.04.30
  • [부여 문화재]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장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백제 577년 ㅣ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 ㅣ 국보 제327호 2007년 부여 왕흥사지에서 발견된 청동, 은, 금의 삼중 사리장엄입니다. 가장 바깥쪽 청동 사리함에 명문이 새겨져 있어서, 577년 백제의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공양한 사리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왕이 사리를 공양하려 하였을 때, 놀랍게도 사리는 기적을 일으켜 2과였던 것이 3과가 되었다고 합니다. 기적을 보인 사리는 순도 99%가 넘는 은제 사리병과 금제 사리호 안에 귀하에 안치되었지만, 발견 당시에는 사리는 사라지고 맑은 물만 남아있었습니다. 정유년(577) 2월 15일 백제 창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사찰을 세웠다. 본래 사리가 2매..

    2020.04.19
  • [개성 문화재]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출토 묘법연화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고려 1283년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15년 개성의 남계원 터에 있던 칠층석탑을 경복궁으로 옮겨 왔을 때, 탑 안에서 두루마리 7권의 묘법연화경이 발견되었습니다. 감색 종이 위에 금으로 그림을 그리고, 은으로 경전의 내용을 적은 것인데, 훼손이 심하여 펼칠 수도 없는 상태였던 것을 2권만 수리하여 현재의 상태가 되었습니다. 탑 속에 부처님의 말씀을 형상화한 소탑이 아니라, 부처님의 말씀 그 자체인 경전을 봉안한 경우도 많았지만, 재질 상의 이유로 지금까지 남아있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게다가 발원자 염승익廉承益의 이름이 남아있어 제작 시기와 연원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긴 금강저를 휘두르며..

    2020.04.19
  • [봉화 문화재]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 출토 소탑과 사리장엄

    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으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특별전 전시 안내문] 9세기 중엽 ㅣ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1962년 경상북도 봉화 서동리 동삼층석탑의 해체 수리 때 1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네모난 사리 구멍 안에는 99기의 소탑이 가득 들어있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행한 법사리 안치 방식입니다. 8세기 초에 전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99개'의 다라니를 '99기'의 소탑 안에 넣은 '법사리'를 탑 안에 봉안하면, 그동안 지은 죄를 씻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경전의 말씀대로 99기의 소탑을 안치한 것이 그대로 남아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돌로 만든 사리호 안에 3과의 사리를 안치한 유리병도 있으니 놓치지 마세요.

    2020.04.19
  • [남양주 문화재]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출토 부처와 보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조선 1628년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경기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의 2층과 3층 옥개석에서 발견된 불상 1구와 보살상 2구입니다. 이 탑 안에서는 1493년 태종의 후궁 명빈 김씨가 시주한 불상 6구와 불감 1기, 그리고 1628년 선조의 비 인목왕후 김씨가 발원한 불상 20구가 모셔져 있었는데, 여기에 전시된 것은 인목왕후 김씨가 발원한 약사여래와 일광보살, 월광보살입니다.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은 유교를 숭상한 조선 왕실의 여인들이 불교를 후원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왔지만, 탑 안에 사리 대신 불상만을 안치하는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주목할 만합니다. 보살의 보관 장식에서 떡방아를..

    2020.04.15
  • [영암 문화재] 영암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광주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1996년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용암사 터에 남아 있던 삼층석탑의 기단부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사리장엄은 금과 은, 유리 등의 귀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고려시대에 이르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도자기 등을 재활용하기도 하였습니다. 청자 항아리 안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32과顆의 사리를 모신 사리호가 함께 들어있었습니다. 사리장엄의 재질이나 함께 모신 보살상 등을 보면 사리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면 탑 안에 사리 없이 불상만 안치하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지장보살이 두건을 쓰고 있는 사실은 눈..

    2020.04.13
  • [부여 문화재]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부여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1962년 충청남도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안에서 발견된 사리장엄입니다. 금동과 은으로 만든 이중 사리병 안에 작은 진주 43알이 들어 있었습니다. 본래 탑 속에 안치하는 불사리는 석가모니 부처의 유골이어야 하지만, 인골과 구별하기 어려운 유기물을 안치하거나 귀한 보석, 진주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사리는 그 진위 여부와는 상관없이 부처를 대신할 수 있는 성물이기 때문입니다. 1931년에 같은 탑의 기단부에서 나무로 만든 소탑과 상아로 만든 불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이처럼 부처 그 자체인 사리와, 부처를 형상화한 불상을 함께 안치하는 전통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존재하였고, 이는 대부분 ..

    2020.04.13
  • [광주 문화재]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서,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볼 수 있다. [전시 안내문] 고려 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61년 광주光州 시내에 위치한 고려 전기의 오층석탑을 해체 수리하는 과정 중에, 2층 탑신의 윗면에서 발견된 금빛 탑 모양의 사리장엄입니다. 보살이 장식된 탑신을 들어올리면, 활짝 핀 연꽃받침 위에 은으로 만든 작은 호가 놓여져 있고, 그 안에 모두 56과 顆의 사리가 봉안되어 있었습니다. 사리호에 사리를 넣어 탑 모양의 사리장엄 안에 안치하고, 그 탑 모양의 사리장엄을 다시 탑 안에 안치하는 방식이 독특합니다. '사리'를 '탑 안'에 모셔 예배하는 인식이 뿌리 깊이 정착되어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사리를 지키고 있는 대좌 위의 사천왕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2020.04.13
  • [칠곡 문화재]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일괄 유물 가운데 사리장엄구만 4월까지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 전시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25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상세설명 :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호)이 있다. 1959년 이 탑을 수리하기 위해 해체하면서 탑 안에 있던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 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는 2층 탑신塔身 구형龜形 석함石函(현재 송림사에 보관) 속에서 발견되었다. ㅇ 1층 탑신에서는 나무와 돌 그리고 동으로 만든 불상이 각각 2구씩..

    2020.04.12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국립익산박물관 개관 특별전 "사리장엄 - 탑 속 또 하나의 세계 -" 2020. 01. 10 ~ 2020. 04. 26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하고, 특별전까지 열었으나... 2020년 4월 현재, 그 넘의 코로나 때문에 개점휴업상태라니... 국립익산박물관은 기존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이 승격되면서 2020년 01월 10일에 재개관 하였다. 각 유물별로는 따로 업로드합니다~

    2020.04.12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사신이 호위하사, 백제 능산리 1호 동하총

    2019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사신이 호위하사, 백제 능산리 1호 동하총" 2019. 09. 10 ~ 2019. 11.24

    2020.04.12
  • [순천의 박물관] 송광사 성보박물관

    2020.04.1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44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