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청주박물관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맞배지붕 법주사 Heritage 문화유산 클래식카 국립익산박물관 보은문화재 피규어 사리장엄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문화재 국립부여박물관 팔작지붕 TBLeague 야금 오층석탑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아름다운문화재]/사적(23)

  • [공주 문화재] 공주 공산성의 과거와 현재

    2023.01.23
  • [남양주 문화재] 남양주 사릉

    2012년 05월 답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사적 ㅇ 지정일 : 1970. 05. 26 ㅇ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80 ㅇ 시 대 : 조선 숙종 24년(1698) ㅇ 상세설명 :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1440∼1521)의 능이다. 정순왕후는 송현수의 딸로 1454년(단종 2) 왕비로 책봉되었고, 다음 해에 세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의덕왕대비가 되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단종복위운동이 발각되면서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자 왕후도 군부인으로 강등되어 동대문 밖 정업원에서 생활하였다. 정업원 뒤쪽 산봉우리에 올라 영월을 바라보며 비통한 마음으로 단종을 그리워하며 한 많은 세월을 살았다. 자식없이 1521년(중종 16)에 82세로 세상..

    2023.01.01
  • [청주 문화재] 청주 정북동토성

    어안렌즈로 본 청주 정북동토성.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사적 ㅇ소 재 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1번지 ㅇ시 대 : 후삼국시대 ㅇ상세설명 :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있는 평지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만든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아 도읍을 삼았는데, 견훤이 산성을 빼앗아 정북동 토성으로 짐작되는 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어, 후삼국 쟁란기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이루어졌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과 성의 위치, 주변 여건이 초기 성곽시설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의 길이는 675m이고 높이 3.5m, 폭은 8∼13m 정도 된다. 성안에서는 주거지, 기둥구멍, 길, 돌무더기 등이 확인..

    2022.02.06
  • [홍성 문화재] 홍성 홍주읍성

    재작년 여름에 다녀왔는데 이제서야... 읍성 내 곳곳에 나름 볼거리가 풍성한 읍성이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사적 제231호 ㅇ 지 정 일 : 1972. 10. 14 ㅇ 소 재 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1번지 ㅇ 시 대 : 삼국 ~ 조선 ㅇ 상세설명 :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당시 성의..

    2021.01.31
  • [공주 문화재] 하늘에서 본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공주 송산리 고분군? 이라고 하면 생소하겠지만, '무령왕릉'이라고 하면 익히들 아실 것이다.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서 가장 유명한 것이 무령왕릉이니 오히려 더 유명해진 이름. 모로 가도 무령왕릉만 가면 된다^^. 1963년 1월 21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나가다 마침 차에 드론(팬텀3)도..

    2016.02.01
  • [익산 문화재] 익산 제석사지(사적 제405호)

    익산에서 유명한 절터로는 미륵사지, 그리고 왕궁으로 쓰이다 사찰로 용도가 바뀌었던 왕궁리유적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또 한 곳 중요한 사지로 제석사지가 있다. 제석사지는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247-1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1998년 5월 1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사지는 ..

    2016.01.26
  • [부여 문화재] 하늘에서 본 부여 정림사지(사적 제301호)

    정림사지는 부여읍내에 있는 대표적인 백제시대의 사찰로서, 북쪽으로 1km 정도 거리에는 부소산성과 관북리유적과 낙화암 등이, 남쪽으로 1km 정도 거리에는 별궁인 궁남지가 있고, 바로 근처에는 국립부여박물관이 자리해 있다. 그만큼 부여읍내를 중심으로 일대에는 구경할만한 문화..

    2016.01.21
  • [익산 문화재] 익산 미륵사지(사적 제150호)

    익산 미륵사지는 너무나도 잘 알려졌다시피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한 백제 최대의 사찰이다. 미륵사지는 미륵산 남쪽 아래 평탄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1966년 6월 2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미륵사지에 대한 포스팅은 이미 몇 꼭지를 올렸으나, 이번에는 총정리(?)하는 셈 치..

    2016.01.20
  • [익산 문화재] 하늘에서 본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제408호)

    익산 왕궁리 유적을 하늘에서 휘~ 둘러보다. 익산 왕궁리 유적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지상에서의 포스팅은, 요기요(http://blog.daum.net/dojasa/16794853 )~~~. 촬영은 드론 팬텀3...

    2016.01.16
  • [익산 문화재] 하늘에서 본 익산 미륵사지(사적 제150호)

    백제의 대표적인 절터인 미륵사지는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위치해 있으며, 1966년 6월 22일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드론 팬텀3 어드밴스로 촬영, 역시 절터는 내려다봐야 눈에 딱 들어온다.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익산 기양리에 있는 백제 때의 절터이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2016.01.10
  • [부여 문화재] 부여 궁남지(사적 제135호)

    부여는 지치도록 볼만한 문화재가 많은 동네란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듯. 부여읍내 남쪽에 있는 궁남지는 잘 알려져 있듯이 백제 별궁의 연못이다. 사적이라는 문화재로서의 중요성도 중요성이지만, 그보다 과거에는 왕족들만의 휴식터였겠지만, 지금은 온 백성의 휴식터로서의 역할을 ..

    2015.11.28
  • [익산 문화재]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제408호)

    익산 왕궁리 유적은 최근에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백제 관련 중요 유적 중 한 곳이다. '백제역사유적지구'는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과 정리사지와 능산리 고분군과 나성, 그리고 익산의 왕궁리 유적과 미..

    2015.11.22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