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국립청주박물관 문화유산 팔작지붕 문화재 사리장엄 클래식카 야금 오층석탑 청주박물관 맞배지붕 법주사 국립익산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TBLeague 피규어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보은문화재 Heritage 특별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523)

  •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불심 깃든 쇳물, 강원과 전북의 철불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 소개의 글] 기간 : 2021. 05. 25 ~ 2021. 08. 29 장소 : 국립익산박물관 기획전시실 내용 : 국립익산박물관은 2021년 특별전 을 개최합니다. 쇠를 녹여 만든 불상인 철불鐵佛은 9세기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에 이르는 짧은 기간 동안, 당시 수도였던 경주나 개성이 아닌 지방에서 집중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많은 예가 남아있는 곳이 바로 강원도와 전라북도입니다. 이번 전시는 앞서 강원도 원주 철불에 대한 보존과학적 연구성과를 공개한 국립춘천박물관 특별전 에, 전북 남원과 임실에 전하는 철불을 더하여 꾸며 보았습니다. 단단한 쇠도 단번에 녹여버릴 뜨거운 불심佛心으로 만든 강원과 전북의 철불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2021.07.31
  • [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팔상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지정번호 : 국보 제55호 ㅇ지 정 일 : 1962. 12. 20 ㅇ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ㅇ시 대 : 조선 인조 2년(1625) ㅇ상세설명 :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은 절이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수리한 것이다. 벽 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1층과 2층은 앞·옆면 5칸, 3·4층은 앞·옆면 3칸, 5층은 앞·옆면 2칸씩으로 되어 있고, 4면에는 돌계단이 있는데 낮은 기단 위에 서 있어 크기에 비해 안정..

    2021.05.08
  • [홍성 문화재] 홍성 상하리 미륵불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ㅇ 지 정 일 : 1979. 07. 03 ㅇ 소 재 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상하리 506-8 ㅇ 상세설명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에 있는 거대한 마애불이다. 민머리에 가늘고 긴 눈, 넓적하고 낮은 코, 비교적 작은 입이 평면적으로 표현되었고, 입가의 희미한 미소가 부드러운 인상을 풍긴다. 신체 역시 입체감 없이 평면적인데, 두 손을 아래위로 나란히 대고 있는 것만 표현했을 뿐 다른 것은 거의 생략되었다. 지방양식을 잘 드러내고 있는 관촉사 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 등 충청도 지방에 남아 있는 거대한 불상들과 비슷한 계열의 작품으로 보인다. [홍성 상하리 미륵불 안내문] 미륵불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여 중생을..

    2021.03.07
  • [예산 가볼만 한 곳] 윤봉길의사기념관

    매헌 윤봉길의사가 태어나고 자란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는 의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충의사가 있고, 그 한쪽에 윤봉길의사기념관이 마련되어 각종 유품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2021.02.14
  • [홍성 문화재] 홍성 홍주읍성

    재작년 여름에 다녀왔는데 이제서야... 읍성 내 곳곳에 나름 볼거리가 풍성한 읍성이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사적 제231호 ㅇ 지 정 일 : 1972. 10. 14 ㅇ 소 재 지 :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1번지 ㅇ 시 대 : 삼국 ~ 조선 ㅇ 상세설명 :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당시 성의..

    2021.01.31
  • [부여 문화재] 백제 금동대향로

    언제 봐도 아름답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국보 제287호 ㅇ 지 정 일 : 1996. 05. 30 ㅇ 소 재 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ㅇ 시 대 : 백제(6~7세기) ㅇ 상세설명 :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여점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1.8㎝, 무게 11.8㎏이나 되는 대형 향로로,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부분으로 구성된다. 뚜껑에는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무인상, 기마수렵상 등 16인의 인물상과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날짐승, 호..

    2021.01.24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 산수문전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소개의 글] 기간 : 2020. 12. 15 ~ 2021. 05. 30 장소 : 국립부여박물관 기획전시관 내용 : 2020년 겨울의 문턱에서, 국립부여박물관은 특별전 ‘백제百濟 산수문전山水文塼’을 선보입니다. 산수문전을 비롯한 백제百濟 문양전文樣塼은 국립부여박물관 대표 소장품 백제금동대향로와 함께 백제문화의 정수精髓로 손꼽을 만합니다. 간결하고 균형 잡힌 구도에서 오는 편안함, 백제 특유의 완만하고 부드러움이 깃든 백제 이상향의 공간에서 백제의 품격을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로 지친 몸과 마음에 조금이나마 휴식과 힐링의 시간이 되시길 기대해 봅니다. 일반적인 유물 중심의 전시라기 보다는 미디어아트적 요소가 강했던, 그래서 새롭기는 했으나... 전시된 유물은 문양벽돌 8점이..

    2021.01.23
  •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한성에서 웅진으로II -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 나성동

    [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소개의 글] 기 간 : 2020.09.22 ~ 2021. 03.01 장 소 :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 백제는 475년에 웅진(현재 공주시)으로 천도하게 됩니다. 수도를 옮긴다는 것은 국가의 운명이 걸린 일이기에 당장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조건들이 갖추어진 곳을 찾았을 것입니다. 공주에서 멀지 않은 곳인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옛 연기군 남면 나성리)유적은 발굴조사 결과 한성기 백제 중앙을 비롯하여 주변의 여러 지역집단들과 다양한 교류 및 교역을 담당했던 도시로서의 기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시에서는 나성동 일대 지방세력의 문화와 지방도시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그 도시가 웅진 천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역사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더 많은 ..

    2021.01.19
  • [세종 문화재] 계유명삼존천불비상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국보 제108호 ㅇ 지 정 일 : 1962. 12. 20 ㅇ 소 재 지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ㅇ 시 대 : 통일신라 ㅇ 상세설명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작품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을 새겨 놓은 것이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을 새겼는데, 앞면의 삼존불三尊佛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글이 새겨져 있고, 그 나머지 면에는 작은 불상을 가득 새겨 놓았다. 삼존불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반원형의 기단 위에 조각되어 있는데, 4각형의 대좌臺座에 앉아 있는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 옆에 협시보살이 서 있다. 본존불은 옷을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체가 많이 닳아서 ..

    2021.01.10
  • [부여 문화재] 홍산객사

    [홍산객사 안내문] 객사는 고려시대부터 각 고을에 설치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나 사신이 머물던 관아 건물이자 숙소이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대궐을 향해 예를 올리기도 했다. 홍산객사는 조선 헌종 때인 1836년에 세워졌으며, 고종 때인 1871년에 고쳐 지은 후 1983년에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건물은 가운데에 왕의 전패를 모시는 정당이 있고, 좌우 양쪽에는 익실이 있다. 정당은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익실은 동쪽이 앞면 5칸, 옆면 2칸, 서쪽이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건물의 이름은 비홍관飛鴻館으로, 홍산지역의 주산인 비홍산에서 따온 것이다. 이 객사는 다른 곳에 비해 규모가 크고, 홍산동헌과 함께 조선 후기 홍산현의 관아건물을 대표한다. [문화..

    2021.01.10
  • [홍성 가볼만한 곳] 홍주성 역사관

    홍주읍성 안에 위치해 있는 박물관으로, 홍성의 선사시대부터 어제와 오늘까지는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2020.12.27
  • [청주 가볼만한 곳]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둘러보면서 사진 찍고 만지기가 즐거웠던 작품들...

    2020.12.25
이전
1 ··· 4 5 6 7 8 9 10 ··· 44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