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국립청주박물관 문화재 청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오층석탑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Heritage 보은문화재 특별전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사리장엄 맞배지붕 팔작지붕 문화유산 TBLeague 국립익산박물관 피규어 클래식카 야금 법주사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전체 글(523)

  •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이집트 - 삶, 죽음, 부활의 이야기

    [국립부여박물관 홈페이지 소개글] ㅇ전시제목 : 이집트 - 삶, 죽음, 부활의 이야기 ㅇ전시기간 : 2022. 03. 17 ~ 2022. 08. 17 ㅇ전시장소 : 국립전주박물관 기획전시실(어린이 박물관) ㅇ관 람 료 : 무료 ㅇ국립전주박물관, 미국 브룩클린박물관 이집트 문명은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로 약 5천 년 전부터 나일 강을 중심으로 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이 거대한 피라미드를 건설하던 때 한반도는 아직 신석기시대에 머물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고대 이집트의 역사와 문화가 얼마나 대단했었는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집트는 지중해를 사이에 두고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히타이트 등 다양한 고대 국가들과 영향을 주고 받았습니다. 결국 로마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되지만 오히려 로마 ..

    2022.05.20
  • [안동 문화재] 봉정사 만세루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2001. 11. 01 ㅇ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ㅇ 시 대 : 조선 숙종 6년(1680년) ㅇ 상세설명 : 봉정사 대웅전 앞에 있는 2층의 누각형태를 한 누문이다. 봉정사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도력으로 만든 종이 봉황을 부석사에서 날리자 이 곳에 내려 앉아 봉정사라 불렀다고 한다. 만세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앞면에서 보면 2층이나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뒷면은 단층으로 처리하였다. 아래층 가운데 칸에 출입문을 두었으며, 위층은 네모난 우물 정井자 모양의 우물마..

    2022.05.15
  • [안동 문화재] 안동 봉정사 대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국보(기존 제311호) ㅇ지정일 : 2009. 06. 30 ㅇ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ㅇ시 대 : 조선시대 초기 ㅇ상세설명 : 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능인대사能仁大師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전하는데, 등 발견된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보면 7세기 후반 능인대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에는 석가모니삼존상이 모셔져 있다. 1962년 해체·수리 때 발견한 기록으로 미루어 조선 전기 건물로 추정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밖으로 뻗..

    2022.05.08
  • [안동 문화재] 안동 봉정사 영산암

    2022.04.24
  •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국립부여박물관 홈페이지 전시 안내문] 기간 : 2021. 12. 21 ~ 2022. 05. 08 장소 : 국립부여박물관 기획전시관 내용 : 돌은 초기 인류가 찾은 도구의 소재입니다. 돌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쉽게 변하지 않는 소재이기도 합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 생활 곳곳에서는 지금도 돌로 만든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백제권역에서는 보령 납석과 익산 황등석과 같이 품질 좋은 돌 산지가 많았습니다. 거기에 더해 좋은 돌을 찾아내는 눈, 돌의 성질을 이해하는 능력, 섬세한 손기술을 지닌 장인도 많았습니다. 그 덕분에 백제에서는 돌을 이용한 다양한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백제 초기 한성기를 거쳐 웅진기와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돌을 가공하여 만든 것들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지금도 옛 원형 ..

    2022.03.01
  • [국립청주박물관] 리뉴얼 개관

    국립청주박물관이 얼마 전에 상설전시실을 리뉴얼 개관했습니다. 크게 '고대'실과 '미술'실로 나뉘었고, 기존 조선실은 현재도 리뉴얼 작업 중이라고 합니다. '고대'실은 기존 선사실과 고대실이 바뀌었고, '미술'실은 기존 고려실입니다. 특히 고대실은 도서관 같은 문화공간이 공존하는 분위기로 바뀌어서 아이들이 좋아할듯 합니다. (왜곡되어 보이는 이미지는 어안렌즈로 촬영)

    2022.02.21
  • [청주 문화재] 청주 정북동토성

    어안렌즈로 본 청주 정북동토성.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 목 : 사적 ㅇ소 재 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 351-1번지 ㅇ시 대 : 후삼국시대 ㅇ상세설명 : 미호천변 평야의 중심에 있는 평지에 흙으로 쌓은 성이다. 만든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당산성고금사적기』에 궁예가 상당산성을 쌓아 도읍을 삼았는데, 견훤이 산성을 빼앗아 정북동 토성으로 짐작되는 토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어, 후삼국 쟁란기인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에 이루어졌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출토된 유물과 성의 위치, 주변 여건이 초기 성곽시설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성의 길이는 675m이고 높이 3.5m, 폭은 8∼13m 정도 된다. 성안에서는 주거지, 기둥구멍, 길, 돌무더기 등이 확인..

    2022.02.06
  • 상주 이안철교

    2022.01.13
  • [충주 문화재]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중앙탑)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국보 ㅇ 소 재 지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 ㅇ 시 대 : 통일신라(8세기) ㅇ 상세설명 : 남한강의 아름다운 경관과 잘 어우러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당시에 세워진 석탑 중 가장 규모가 크며, 우리나라의 중앙부에 위치한다고 해서 중앙탑中央塔이라고도 부르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7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시작되는 기단은 각 면마다 여러 개의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 역시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 끝이 경쾌하게 치켜올려 있어 자칫 무겁게 보일 수 있는 탑에 활기를 주고 있으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새겨 놓았다. 탑..

    2022.01.08
  • [중국 문화재] 바이쯔커리커천불동[백자극리극천불동栢孜克里克千佛洞]

    바이쯔커리커천불동[柏孜克里克千佛洞백자극리극천불동]은 신장자치구 투루판시 동북의 화염산火焰山 목두구木头沟에 위치해 있는 석굴로 1천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이 석굴은 최초 5세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14세기까지 이어졌다. 현재 83개의 동굴과 40여 개의 벽화가 보존되어 있다. 벽화의 총 면적은 1,200여 ㎡에 달한다. 석굴은 화염산 절벽 내 높낮이가 각기 다른 지역에 분포하며 절벽을 굴착하거나 동굴의 앞부분에 흙더미를 쌓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는 승려가 앉아 참선을 수행하는 비하라굴 및 신도가 예배를 드리는 지제굴支提窟, 고승을 기념하여 만든 은굴隐窟 및 승려가 거주하는 승방僧房 등이 있다. 주위는 구릉의 기복이 심하고 낭떠러지가 있으며 아래쪽으로는 ..

    2021.12.19
  • 중국 훠옌산[화염산火焰山]

    신장위구르자치구 투루판 분지 내에 있는 산으로 투루판시 동북 10㎞ 거리에 위치하며, 동서 간 98㎞, 너비는 9㎞, 정상의 해발고도는 831.7m이다. 여름철 적갈색의 화염산이 햇볕을 받아 뜨거운 기류를 위로 보내는데 그 모양이 마치 붉은 산이 활활 타오르는 듯하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풀이나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민둥산이지만 화염산 중심부에 들어가면 골짜기에 녹음이 무성하고 맑은 시내물이 흘러 화염 속의 오아시스를 방불케 한다. 오승은吴承恩의 유명한 고전소설 『서유기』에서도 불타는 산으로 묘사되어 주인공 손오공이 파초 잎 부채로 화염산의 불을 껐다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2016년 06월 답사.

    2021.12.19
  • 중국 쿠무타거사막[고목탑격사막庫木塔格沙漠]

    쿠무타거사막은 신장위구르자치구 투루판지구 산산현의 옛 성 남단에 위치해 있다. 쿠무타거는 위구르어로 '사막의 산'이라는 의미이며, 동서로 62km, 남북으로 40km로 총면적 1,880㎢이다. 중국 6대 사막으로 매년 1~4m의 속도로 동쪽으로 확대되며 돈황을 위협하고 있다. 2016년 06월 답사.

    2021.12.19
이전
1 2 3 4 5 6 7 8 ··· 44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