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 10. 22:13ㆍ[아름다운문화재]/기념물
아산 공세리성당은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성당길 10(공세리), 34번 국도와 38번 및 39번 국도가 교차하는
인주육교(교차로) 남쪽편 구릉 위에 자리해 있다.
1890년대에 설립되었으며, 국내 최초의 성당은 아니지만, 가장 아름다운 성당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1998년 7월 28일에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아주 아담한 아름다움이 묻어나고, 멀리 아산만방조제가 보인다(드론 팬텀3로 촬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인주면 공세리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천주교 성당이다.
130여 평 규모에 본당·사제당·피정의 집·회합실 등의 건물이 있고 병인박해 때 순교한 3인의 묘가 조성되어
있다. 본당은 1층 적벽돌 건물로, 정면에는 높은 첨탑이 있고, 내부에는 무지개 모양의 회색 천장이
마련되어 있다. 사제관은 2층 벽돌 건물로, 정면이 팔자(八)계단으로 2층을 오르게 되어있으며, 계단
아래에 1층 입구를 두었다.
1894년 교회를 설립하였고, 1897년에 사제관을 세웠으며, 1922년 연와조 고딕양식의 근대식성당을
완성하였다. 수백년 된 나무로 둘러싸여 있어 주위 경관이 매우 아름다운 천주교의 성지라 할 수 있다.
[공세리성당 안내판]
1890년에 시작된 120년 역사를 지닌 유서 깊은 공세리 성지.성당은 충청남도 지정문화재 144호이며,
350여 년이 넘은 다수의 국가 보호수가 있으며, 높은 언덕에 우뚝 서 있는 근대 고딕식 조적조 종교건물로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고 수려한 자연 경관과 잘 어우러져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당이라는
명성답게 공세리 성당만의 독특한 매력과 아름다운 자태를 맘껏 뽐내고 있다. 공세리 성당의 아름다움은
이미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서도 더 잘 알려져 있다.
성당이 위치한 1만 여평의 부지는 성종 9년(1478년)부터 영조 38년(1762년)까지 근 300년 동안
운영되었던 충청도 일대에서 거두어들인 세곡을 저장하던 공세 창고지인 역사 유적지이기도 하다. 공세리
성당이 위치한 이곳은 내포지방의 입구로써 내포지역은 한국천주교회의 신앙의 못자리라 불릴 만큼 한국
천주교 역사에 중요한 중심지였다. 공세리 성당에는 1801-1873년 신유, 병인박해 때 이 지역에서
순교하신 32위의 순교자들을 모시고 있는 순교 성지이기에 더욱 경건하고 의미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공세리 성당은 1890년 프랑스 외방선교회 파스키에 신부님에 의해 예산 간양골에서 시작되어 그 후 5년
뒤인 에밀 드비즈(파리외방선교회) 신부님에 의해 지금 이 자리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드비즈 신부님은
이곳에서 많은 일들을 하셨는데 특이할 만한 업적 중 하나는 우리에게 이명래 고약으로 알려진 바로 그
고약의 원 개발자였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고약을 만들어 무료로 나누어주는데 그 비법을 당시 드비즈
신부님을 도와주었던 이명래(요한)에게 전수하여 전국적으로 보급되었기에 공세리 성당은 "이명래
고약의 발원지"라고 할 수 있다.
성당 안에는 많은 보호수가 있는데, 입구 쪽에 있는 대표적인 나무로서 느티나무이다.
뒤편으로는 피정의 집과 사제관이 자리해 있다.
성가정 상.
공세리 성지의 핵심인 성당 일원의 모습.
성당. 나는 천주교인은 아니지만... 정~말 아름답다.
성당 옆 성모상과 함께.
개인적으로 무교지만, 이 분은 정말 편안함이 끌린다.
성당 서쪽편에는 박물관과 베네딕토 관(사무실)이 위치해 있다.
아쉽게도 박물관은 준비중이어서 들어가 볼 수 없었다.
박물관 뒤편에서.
성지 내 곳곳에 있는 보호수 중 한 그루. 이건 피나무.
성지 내에서 가장 경건해지는 장소일 듯. 순교자의 묘지이다.
꽃이 만발하고, 신록이 우거졌을 때는 더 아름답겠지만, 겨울 나름대로의 아름다움도 품고 있는 장소이다.
'[아름다운문화재] > 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 문화재] 보령 남포읍성 (0) | 2020.05.09 |
---|---|
[익산 문화재] 이병기선생 생가(전라북도 기념물 제6호) (0) | 2016.01.24 |
[공주 문화재] 드론으로 내려다 본, 공주 공산성 연지(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0) | 2016.01.01 |
[논산 문화재] 계백장군유적지(충청남도 기념물 제74호) (0) | 2015.12.27 |
[공주 문화재] 공주 공산성 연지(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0) | 201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