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클래식카 보은문화재 피규어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특별전 국립청주박물관 문화유산 국립부여박물관 오층석탑 국립익산박물관 사리장엄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팔작지붕 문화재 TBLeague 법주사 Heritage 야금 맞배지붕 청주박물관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문화재(45)

  • [순천 문화재] 순천 송광사 영산전

    송광사 경내의 약사전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작고 예쁜 건물은 분명하지만, 바로 앞에 담장이 있어 화각이 나오지 않는...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03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절의 기록에 이 건물은 조선 인조 17년(1639)에 세웠고 영조 12년(1736)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73년에 보수한 것이다. 영산전에는 석가모니불상을 모시고 ..

    2020.05.24
  • [순천 문화재] 순천 송광사 약사전

    정작 중요한 건물들은 볼 수 없는 곳이었지만, 배롱꽃이 건물들의 운치를 더해 줬던 송광사. 가장 작지만 매력도 넘쳤던 약사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보물 제302호 ㅇ 지 정 일 : 1963년 01월 21일 ㅇ 소 재 지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조계산에 있는 송광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매우 유서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조계산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는 정확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약사전은 모든 질병을 고쳐 주는 부처인 약사여래를 모신 불전으로서, 규모가 송광사에서 가장 작은 법당이다. 앞면·옆면이 모두 1칸으로 간결하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

    2020.05.24
  • 청주 가볼만한 곳, 노을이 아름다운 정북동 토성

    2020.05.19
  • [당진 문화재] 당진 영탑사 범종

    당진 면천면 영탑사의 범종은 대웅전 안에 놓여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9호 ㅇ 지 정 일 : 1984년 05월 17일 ㅇ 소 재 지 : 충남 당진시 면천면 영탑사 ㅇ 시 대 : 조선 ㅇ 상세설명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60㎝, 입 지름 46㎝의 종이다. 이 종에는 조선 영조 37년(1760) 가야사 법당에 있는 금종을 녹여 만들었다고 쓰여있다. 『명찰순례』에 의하면 서울 봉원사 염불당에 있는 종 역시 영탑사 종과 크기와 형태가 같은 것으로, 가야사 금종으로 만들어졌다. 염불당은 흥선대원군의 별저를 옮겨 지은것이라 한다. 가야사는 충청남도 예산 서원산 남쪽 기슭에 있는 사찰로서 이 절자리가 왕을 낳게 한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해 현종 6년(1840)에 ..

    2020.05.17
  • [당진 문화재] 당진 영탑사 칠층석탑

    당진 면천면 영탑사에는 암반을 기단 삼아 멋드러지게 솟아 있는 칠층석탑이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ㅇ 지 정 일 : 1984년 05월 17일 ㅇ 소 재 지 :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510번지 ㅇ 시 대 : 고려 ㅇ 상세설명 : 영탑사 법당 뒤의 바위 위에 서 있는 7층 석탑이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1798)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원래는 7층탑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한다. 바위를 기단基壇 삼아 7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이 ..

    2020.05.17
  • [당진 문화재] 당진 영탑사 약사여래상

    당진 면천면 영탑사의 유리광전 안에 모셔진 여래상이다. 산에부터 흘러내려온 암반 끝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어 법당 안에 모셔졌다기보다는 여래상을 보호하기 위해 덧집을 씌운 것이라 보는 것이 맞을듯 하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 ㅇ 지 정 일 : 1984년 12월 29일 ㅇ 소 재 지 : 충남 당진시 면천면 상왕산 영탑사 ㅇ 시 대 : 고려 ㅇ 상세설명 :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상왕산 영탑사靈塔寺의 우뚝 선 암벽에 돋을새김 한 높이 3.5m의 불상이다. 고려말에 무학대사가 사찰을 둘러보니 기이한 바위가 빛을 내고 있어 심상치 않게 여겨 여기에 불상을 조각해 나라의 평안을 빌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을 표현하였고, 얼굴은 윗..

    2020.05.17
  • [보령 문화재] 남포관아문(진서루, 내삼문, 외동헌)

    남포관아문은 '남포현관아'로도 불리며, 보령 남포읍성 안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현재는 진서루, 내삼문, 외동헌만 남아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5호 ㅇ 지 정 일 : 1976년 01월 08일 ㅇ 소 재 지 : 충남 보령시 남포면 읍내리 378번지 ㅇ 상세설명 : 조선시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남포읍성의 관아 건물로서 객사客舍, 동헌東軒, 아사衙舍, 향청鄕廳, 작청作廳, 현사縣司 등 많은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것은 동헌, 내삼문 그리고 관아문 진서루임. 현감 집무실인 동헌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건물이며, 남포현 관아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던 관아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문루 건물로 아래는 출입구, 위는 누마루를 설..

    2020.05.09
  • [보령 문화재] 보령 남포읍성

    충남 보령시 남포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이다.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는 성벽구가도 있고, 복원도 많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복원은 좀 엉망이다. 다시 제대로 된 본모습을 찾기를...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번호 : 충청남도 기념물 제10호 ㅇ 지 정 일 : 1976년 01월 08일 ㅇ 소 재 지 : 충남 보령시 남포면 읍내리 ㅇ 상세설명 : 남포현의 치소治所는 웅천읍 수부리에 있었으나, 조선 세종 때, 지금의 남포읍성으로 옮기면서 세종 28년(1446)에 주민통치와 외적 침이 시 방어를 위해 돌로 성을 쌓았고, 현재 성城의 길이는 790m 정도임. 축성 초기에는 왜구 방어를 위한 군사 기지적 성격이 강했으나, 점차 왜구의 침입이 줄어들면서 행정치소로 기능하였음. 조선시대 여러 차례..

    2020.05.09
  • [경주 문화재]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국립익산박물관 특별전에서... [전시 안내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장엄 통일신라 706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제79호 청동 상자 안에, 은과 금으로 만든 상자를 포개어 넣은 사리장엄입니다. 청동 상자의 뚜껑에 새겨진 명문에 의하면, 성덕대왕이 706년에 돌아가신 부모를 위하여 탑 안에 안치한 것인데, 불사리 4과와 순금 아미타상 1구, 그리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권을 함께 넣었다고 합니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중국에 알려진 것은 불과 2년 전인 704년의 일이었습니다. 7~8세기 당과 통일신라는 불교와 한자를 공유하고 있었는데, 아무리 하나의 문화권이라 하더라도 이 경전의 유포 속도에는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함께 발견된 아미타여래좌상이 본래 석가여래의 수인인 촉지인을 왼손으로 ..

    2020.05.02
이전
1 2 3 4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