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문화재] 문의 문산관

2022. 12. 20. 21:34[아름다운문화재]/유형문화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1978. 02. 22

ㅇ 소 재 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청호반로 721(문의면 문의문화재단지)

ㅇ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 상세설명 :

    문산관은 조선시대 문의현의 객사이다. 객사는 전패殿牌를 안치하고 초하루 보름으로 대궐을 향하여 절을 하는 의식을 거행하는 한편, 중앙에서 내려온 사신의 숙소로도 사용한 관아건축이다. 건물구조는 지붕이 좀더 높은 3칸의 정당이 중앙에 있고 그 좌측에 4칸, 우측에 3칸의 익실翼室을 두었으며, 전면에 중문․외문, 측면에 무랑 등이 부속되었고, 정당은 벽돌을 깔고 좌․우익실은 한국식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

    이 건물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1666년(현종7년) 문의읍지에 현령 이명하가 옮겨 세웠다는 기록이 있으며, 지붕의 암막새 기와에‘옹정육년 무신사월擁正六年 戊申四月’이라는 명문으로 보아 1728년(영조4년)에 중건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 건물은 1979년 대청댐이 완공되면서 문의향교 옆으로 옮겼다가 1997년 문의문화재단지 내 현 위치에 옛 모습대로 복원하였다.

[문의 문산관 안내문]

    문산관은 조선 현종 7년(1666)에 세워진 문의현의 객사이다. 건물 구조는 목조 기와의 고주高株집으로, 정면 3칸.측면 3칸의 맞배집인 중앙 건물과 문산관을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면 3칸.측면 3칸의 왼쪽건물(우익헌)과 정면 4칸.측면 3칸의 오른쪽건물(좌익헌)로 이루어져 있다. 오른쪽건물(좌익헌)은 팔작집 한쪽을 개조하여 붙였는데, 중앙 건물과 양쪽 건물 사이에 협찬(사이 건물)이 있고 그 부재나 수법으로 보아 건축 연대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건축은 전주객사에서 그 유래를 볼 수 있어, 이 건물도 문의현의 관아라기보다는 객사이다. 지붕의 암막새 기와에 새겨져 있는 연대로 보아 영조 4년(1728)에 중수가 있었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지방관아의 건축양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원래 대청댐 수몰지역에 위치해 있어 1979년 문의면 소재지로 이건되었다가 1996년 이곳 문의 문화재단지로 다시 이전하였다.

 

 

 

 

중앙 건물(정청)

 

좌익헌

 

우익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