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문화재] 보은 회인향교

2022. 12. 4. 17:14[아름다운문화재]/유형문화재

홍살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종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ㅇ지정일 : 1981. 12. 26

ㅇ소재지 : 충청북도 보은군 부수1길 31-11

ㅇ상세설명 :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세워진 후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불타자 보은향교와 합하였다가 광해군 3년(1611)에 다시 지었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수리가 있었다. 현재 대성전·명륜당·내삼문 등이 남아있다.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사하는 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오도록 한 전학후묘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서 공부하는 강당으로, 1층이 모두 개방된 누문 형식의 특이한 건물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책·노비를 지급받아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다. 『교생초안』·『향교유계안』 등 이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많은 책을 소장하고 있다.

 

입구인 명륜당 전경

 

회인향교 전경

 

명륜당-내삼문-대성전의 단순한 구성이다

 

명륜당 후면

 

명륜당 측후면

 

명륜당 측후면

 

명륜당 출입구

 

명륜당 내부

 

명륜당 내부

 

명륜당 내부

 

명륜당 내부

 

명륜당 측면

 

명륜당 서쪽방 아궁이시설. 공중에 떠 있는 독특한 형식이다

 

명륜당 동쪽방 아궁이시설

 

대성전 전경

 

대성전에서 본 명륜당

 

대성전과 내삼문

 

대성전에서 본 전경

 

대성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