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문화재]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2022. 8. 3. 19:13[아름다운문화재]/국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지정종목 : 국보

ㅇ 지 정 일 : 1962. 12. 20

ㅇ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ㅇ 시     대 : 통일신라시대

ㅇ 상세설명 :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석조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넓다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진 사자 조각은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래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었는데,

윗돌에 두 줄로 돌려진 연꽃무늬는 옛스러운 멋을 풍기며, 현재 남아있는 사자조각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으로 높직하며, 네 곳에 창을 내어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처마밑이 수평을 이루다가 여덟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는데, 꾸밈을 두지 않아서인지

소박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석등을 세운 시기는 통일신라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측되며, 조금 큰 듯한 지붕돌이 넓적한 바닥돌과

알맞은 비례를 이루어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통일신라의 석등이 8각 기둥을 주로 사용하던 것에 비해

두 마리의 사자가 이를 대신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시도였을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는 물론 후대에 가서도 이를 모방하는 작품이 나타났다.

같은 절 안에 있는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과 함께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