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 분류 전체보기 (523)
    • [아름다운문화재] (330)
      • 박물관 (61)
      • 사찰 (20)
      • 사적 (23)
      • 국보 (39)
      • 보물 (75)
      • 유형문화재 (50)
      • 기념물 (15)
      • 문화재자료 (20)
      • 향토유적 (5)
      • 중요민속문화재 (2)
      • 천연기념물 (1)
      • 비지정문화재 (11)
      • 발굴유적 (8)
    • [그리고 또] (132)
      • 풍경출사 (31)
      • 축제와공연 (18)
      • 건프라 (42)
      • 포토폴리오 (11)
      • 클래식카 (20)
      • 피규어 (10)
    • [다른나라답사] (58)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나의 문화유산 답사진

컨텐츠 검색

태그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맞배지붕 사리장엄 클래식카 국립익산박물관 TBLeague 청주박물관 법주사 오층석탑 국립청주박물관특별전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Heritage 보은문화재 국립부여박물관 야금 문화유산 문화재 피규어 팔작지붕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봉정사(6)

  • [안동 문화재] 안동 봉정사 극락전

    [봉정사 극락전 안내문] 이 건물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건물로 고려시대의 건물이지만 삼국시대의 건축양식을 내포하고 있다. 1972년에 실시한 보수공사 때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건립 후 첫 수리는 고려 공민왕 12년(1363)이며, 그 뒤 조선 인조 3년(1625), 순조 9년(1809) 3차에 걸친 수리가 있었다. 원래는 대장전大藏殿이라 불렀으나 뒤에 극락전이라 이름을 바꿨다. 기둥의 배흘림, 공포의 단조로운 짜임새, 내부가구의 고격함이 이 건물의 특징이다. 돌 기단 위에 자연석 초석을 배열했으며 전면과 후면 중앙칸에 판문을 달고 양쪽에는 살창을 내었는데 전면의 판문과 살창은 1972년 보수공사 때 고증을 통하여 고형으로 복원한 것..

    2022.07.07
  • [안동 문화재]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지정종목 : 보물 ㅇ지 정 일 : 1967. 06. 23 ㅇ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ㅇ시 대 : 조선시대 중기 ㅇ상세설명 : 봉정사鳳停寺는 672년(신라 문무왕 12) 능인대사能仁大師에 의하여 창건되었다는 전설이 전하는데, 등 발견된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보면 7세기 후반 능인대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엄강당은 스님들이 불교의 기초 교학을 배우는 곳이다.『양법당중수기』등의 기록에 따르면 같은 경내에 있는 극락전과 대웅전을 17세기에 고쳐 지었을 때 화엄강당도 함께 고쳤을 것으로 추정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과 비슷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

    2022.06.06
  • [안동 문화재] 봉정사 만세루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ㅇ 종 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ㅇ 지 정 일 : 2001. 11. 01 ㅇ 소 재 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ㅇ 시 대 : 조선 숙종 6년(1680년) ㅇ 상세설명 : 봉정사 대웅전 앞에 있는 2층의 누각형태를 한 누문이다. 봉정사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도력으로 만든 종이 봉황을 부석사에서 날리자 이 곳에 내려 앉아 봉정사라 불렀다고 한다. 만세루는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앞면에서 보면 2층이나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뒷면은 단층으로 처리하였다. 아래층 가운데 칸에 출입문을 두었으며, 위층은 네모난 우물 정井자 모양의 우물마..

    2022.05.15
  • [안동 문화재] 안동 봉정사 영산암

    2022.04.24
  • [안동문화재] 안정사 석조여래좌상(경북유형문화재 제44호)

    안동 봉정사의 대웅전과 극락전 사이에는 석조여래좌상 한 분이 생뚱맞게 앉아 계신다. 바로 이 분. 안정사 석조여래좌상이다. 원래 안동군 월곡면 미질리에서 발굴된 것으로 그 곳의 안정사에 있던 불상이다. 연화대좌에 안치된 불상이었는데, 안정사 주지가 방에 안치하면서 금분을 칠..

    2015.09.18
  • [안동 문화재] 봉정사

    안동 봉정사는 천등산 기슭에 자리해 있는, 현재 내가 가장 좋아하는 사찰 중 대표격이다^^. 봉정사를 좋아하는 이유는, 사찰이 좀 유명하다 싶으면 지속적으로 사찰의 경내가 호화로워지고 또 주변이 번잡해지는데, 봉정사는 경내 대부분 전각들이 국보와 보물 등 지정문화재들이 꽉 들..

    2015.08.30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